대체 어디에 투자해야 하지?
예금이자는 0%에 수렴하고,
부동산은 정부에서 보유세, 종부세로 계속 옥죄는 이 때
우리는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그 첫번 째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주식입니다.
달러 표시 자산인 미국주식도 특히 대안이 될 수 있겠죠.
그 외 다른 자산 배분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재테크 서적을 소개해 드리면서 천천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세계의 투자자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워렌 버핏일 것 입니다.
하지만 워렌 버핏은 회사 전체 지분을 소유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회사의 사업 방식에 대한 깊은 고찰을 하는
사업가에 가깝다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만한 자본도 없고
기업 지분의 극히 일부분만을 취득할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마젤란 펀드의 펀드매니저였던 성장가치투자자
피터린치의 투자 방식이 보다 우리에게 어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워렌 버핏은 직접 서술한 책이 없지만
피터 린치는 은퇴 후 직접 여러 책을 저술하였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책이 바로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입니다.
피터 린치가 운영한 마젤란 펀드의 13년간 수익률은 무려 2,700%에 달합니다.
피터린치는 주로 b2c 기업 즉 기업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가 아닌 일반대중으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를 좋아했습니다.
따라서 월가 전문가의 의견보다 시장에서 직접 소비하는 소비자의 의견이 훨씬 중요하다고 보았죠.
또한 월가 전문가의 의견보다 현업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거시적인 경기예측보단 정밀한 기업분석을 통한 투자를 강조하였습니다.
피터 린치는 회사 사정이 많이 안 좋아 졌다가 다시 살아나는 소위 턴 어라운드 주식과
월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인기 주식이 아닌
가치성장주 투자에서
큰 재능을 보였습니다.
니프티-피프티의 거품이 꺼진 이후에 나타난 투자자이므로 그 시대에 잘 맞는 투자였다고 할 것입니다.
현재는 facebook microsoft apple amazon netflix google로 대표되는
성장주들의 독주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소위 언택트주라고도 하죠.
반면 과거의 전통적인 가치주들은 상당히 소외되고 있습니다.
이런 시절에 특히 피터 린치의 투자 방법은 큰 참고가 될 것입니다.
전 전통적인 가치 투자자는 아닙니다.
테슬라 같은 급등주식에 대한 투자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전제는 미래 성장에 대한 확신과 패러다임을 바꿀 기업인지에 대한 확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성장투자를 하더라도 피터 린치나 워렌 버핏, 벤자민 그레이험의 가치투자는
반드시 근본에 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미래를 100%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언제든 우리는 틀릴 수 있다는 것을 겸손하게 인정하고
틀렸을 때를 대비한 안전한 투자를 지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기업의 미래에 확신이 든다면 과감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그럼 누가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할 수 있을까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인생에서 충분히 의미 있고 좋은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조화가 중요하고 가치투자와 성장투자를 모두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주식투자의 경험을 쌓아가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가치투자와 성장투자를 적절하게 접목 시킨 피터 린치의 투자법을 강력 추천 드리는 바입니다.
찰리 멍거가 본받고자 했던 벤자민 프랭클린 (0) | 2023.06.19 |
---|---|
찰리 멍거 자네가 옳아! (0) | 2023.06.18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앙드레 코스톨라니 (0) | 2020.07.13 |
투자 철학 정립을 위한 필독서-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필립 피셔 (0) | 2020.07.06 |
창업가 사업가 주식투자자 필독서-제로 투 원 ZERO TO ONE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피터 틸 (0) | 2020.07.06 |
댓글 영역